소행성 충돌 어떻게 왜 일어날까?

먼옛날 지구에는 공룡이 서식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공룡이 멸종된 이유 중 가장 큰 하나는 소행성과의 충돌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금 현재에도 최소 100여개의 소행성이 태양계를 돌고 있는데요, 이런 소행성이 언제 지구와 충돌을 할 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소행성 충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소행성 충돌의 예

몇년전 러시아 우랄산맥 부근 첼랴빈스크 주 상공에서는 지름 17m, 무게 1만 톤으로 추정되는 우주 천체가 대기권으로 진입해 지상 30~50㎞ 상공에서 폭발했습니다. 다행히 매우 높은 고도에서 폭발해 극소수의 에너지만 지상에 전달된 탓에 사망자는 한 명도 없었으나, 유리 파편 등에 맞아 약 1500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2015년 11월 1일에는 ‘2015TB145’라는 지름 400m의 소행성이 지구에서 불과 48만㎞ 떨어진 지점을 초속 35㎞의 속도로 스쳐 지나가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소행성 충돌은 현재진형형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지구 주위를 도는 소행성을 관측하고 있다고 합니다.

소행성 충돌 시나리오

소행성과 충돌을 하면 엄청난 충격으로 인해서 지구의 지표면이 뒤틀리고 엄청난 쓰나미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충격으로 인해서 대기가 바뀌게 된다고 합니다. 1차 충돌로 인해서 지구상의 많은 종의 생명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 후 엄청난 먼지 구름이 태양을 가리면서 빙하기가 찾아오게 됩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하늘을 가린 먼지가 없어지는 동안 매일 산성비가 쏟아지게 됩니다. 비가 그치게 되면 오존층이 사라져서 뻥뚫린 하늘엔 자외선이 대지를 강타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현상은 2년동안 지속이 되고 자외선이 지속되는 동안 생물들은 전멸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소행성 파괴 방법

1.직접 소행성에 접근하여 파괴하는 법: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방법이라고 합니다. 소행성마다 환경이 모두 다르므로 직접 접근하기도 힘들다고 합니다.

2.미사일로 격추하는 법: 격추를 하기도 힘들지만,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더 많은 파편이 지구로 떨어지기 때문에 더 큰 피해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3.소행성 항로 수정법: 이 방법이 그나마 제일 무난한 방법이라고 합니다. 소행성에 다가가 경로를 약간만 수정을 해주면 지구를 빗겨가게 되어 충돌을 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소행성이 지구로 다가온다면 이를 피해갈 수 있는 방법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의 과학력으로는 충돌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주장하고 있는데요, 부디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도해야 할 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융합반응 태양 다시보기  (0) 2016.04.29

+ Recent posts